마음

極微, 極微集合의 順序

큰산happypapa 2017. 6. 22. 18:28


17, 극미(十七, 極微)

 

색법色法중 유형有形의 물체物體는 모두 색향미촉色香味觸4四元 혹은 성을 가5五元으로써 조직組織된 집합체集合體이다. 5원체五元體의 단위單位를 극미極微라고 하는데 극미極微란 최극미소最極微小의 뜻으로서 어떠한 방법方法으로서도 분해分解하기 어려운 물체物體의 최소분자最小分子를 가리킨 것이다. 10+論十

분석제색지일극미고일극미위색극소

分析諸色至一極微故一極微爲色極小

 

이와 같이 극미極微는 물체物體의 최소분자最小分子이므로 장단長短 등의 형상形狀이 없으며 동서東西 등의 방분方分이 없으며 변괴變壞도 없고 질애質礙도 없다. 따라서 눈[육안肉眼]으로 이것을 볼 수 없다. 그러나 집합체集合體는 장단방원長短方圓 등의 형상形狀이있으며 동서남북東西南北의 방분方分도 있으며 변괴變壞도 있고 질애質礙가 있어서 육안肉眼으로 볼 수 있다.

    

바사론칠십오 십사정

婆沙論七十五 十四丁

 

18, 극미집합의 순서(十八, 極微集合順序)

 

유부종有部宗의 설에 의하면 현재現在에는 반드시 독주獨住의 극미極微가 없다. 만약 있다 할지라도 작용作用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現在의 극미極微는 반드시 집합集合한 것이니 집합集合하는 순서順序는 처음은 육방중심칠극미六方中心七極微라 하여 중심中心1극미一極微가 있고, 4방상하四方上下에 집합集合한 것을 일미취一微聚라고 한다.

 

第九圖(9)

7極微1微聚

7微聚1金塵(금진)[7×749極微]

7金塵1水塵(수진)[49×7343極微]

7水塵1兎毛塵(토모진)[343×72401極微]

7兎毛塵1羊毛塵(양모진)[2401×716807極微]

7羊毛塵1隙遊塵(극유진)[16807×7117649極微] 이 극유진隙遊塵의 형량形量은 문틈에 보이는 먼지에 비유해서 이름한 것이다. 이리하여 7극유진七隙遊塵이 일기一蟣 가 되며 7七蟣가 일슬一蝨이 되며 7七蝨1굉맥이 되며 7굉맥이 일지절一指節이 되고 3지절三指節1一指가 되는 것같이 점점 집합集合하면 산악하해山岳河海와 같은 대형大形을 이루게 된다.


() 원고에 자가 한글로 표기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우모진이 누락되기도 했고 ..... 한자본에서 이 부분을 옮겨 넣어 참고 하시도록 한다. 7羊毛塵=1牛毛塵[16807×7117649極微], 7毛塵1隙遊塵(극유진)[117649×7823543極微]으로. happypapa. _()_

 

極微微金水 兎羊牛隙塵

蟻虱麥指節 後後增七倍

二十四指肘 四肘爲弓量

五百俱盧舍 此八踰繕那

 

論曰. 極微爲初. 指節爲後. 應知後後皆七倍增. 謂七極微爲一微量. 積微至七爲一金塵. 積七金塵爲水塵量. 水塵積至七爲一兎毛塵. 積七兎毛塵爲羊毛塵量. 積羊毛塵七爲一牛毛塵. 積七牛毛塵爲隙遊塵量. 隙塵七爲蟣. 七蟣爲一虱. 七虱爲穬麥. 七麥爲指節. 三節爲一指. 世所極成. 是故於頌中不別分別. 二十四指橫布爲肘. 竪積四肘爲弓. 謂尋. 竪積五百弓爲一俱盧舍. 一俱盧舍許是從村至阿練若中間道量. 說八俱盧舍爲一踰繕那. 如是已說踰繕那等. 今當辯後年等量別. 頌曰 .....